본문 바로가기

과학

10%도 개척하지 못한 바다 심해, 인간의 심해 개척 노력 발전사


1.jpg


300년 전 인류는 현미경의 발달로 마이크로 세계가 열렸다.


slide_425714_5488490_free.gif


그 속엔 일상과 다른 미지의 세계가 존재한다라는 걸 알게된다.


2015070611320799982_3.jpg


2015년 7월 명왕성을 발견한지 85년만에 인류최초의 명왕성 탐사선이 이 행성의 위성 2개를


처음으로 촬영해 지구로 보내왔다.



prom_cinemagraph_starmap.gif


우리가 알지못하는 세계의 비밀이 하나씩 확인되는 상황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미지의 세계라고 불리는곳이 있다.



deep-sea-wallpaper-hd-49.png


바로 지구의 마지막 미스터리 심해



untitled.png


오랫동안 어둡고 획일적이며 생명이 없는 세계로 인식되어온 심해


그럼에도 인류는 끊임없이 심해에 대한 연구와 탐험욕구를 불러일으켰다.


unrest.jpg 


심해에 대한 도전은 고대 인도에서 부터 시작되었다.


그들은 바다밑으로 들어가 진주조개를 캐기위해 잠수를 했으나 수중에서의 호흡제안과 수압으로 깊은수심


에서의 장시간 잠수는 불가능했다.



114947_gal.jpg


잠수사는 고대 국가간의 해전에서 처음 등장했다.


그들은 적선밑으로 침투해 선박에 구먹을 뚫거나 포박줄을 끊어 적선을 손상시키는 임무를 수행했다.


img_2.jpg


세계 정복을 꿈꾼 알렉산드로스 장군은 가죽호스로 공기를 공급받을수있는 콜림파를 타고 바닷속 경치를 즐겼다고했다.


grapee_jp_20150907_162642.jpg


그는 바닷속이 신비의 세계며 오묘한 경치와 진귀한 생물들로 가득차있노라라는 기행문을 남기면서 사람들에게 수중세계에 대한 동경을 안겨줬다.



google_co_kr_20131008_111408.jpg


이후 16세기 레오나르도 다비치는 


마스크,호흡기,공기텐트 등 잠수관련장비들은 스케치한다.


a27.JPG



하지만 수백년동안 인간이 장시간 잠수할수있는 잠수 장비의 발전은 저조했다.


Edward Forbes.jpg


이에 1843년 영국의 생물학자 에드워드 포보스는 550m 수심아래에는 생명이 존재할수가 없다고 주장했고


심해에 대한 인류의 꿈은 멀어져가는듯했다.


6f380c5942595717acff4a50d87914e1.gif


하지만 포보스의 주장은 1872년 최초로 세계일주를 한 영국의 챌린저호가 약 8000m에 달하는 깊이에서  4천여종의 해안생물들을 발견하면서 무너지게 된다.



beebe_inside_b.jpg


인류최초의 심해개척은 1934년에 이루어졌다.


20세기 초 사람이 장비를 타고 바닷속으로 들어갈수있었던 장비는 쇠줄에 매달아 내리는 공모양의 심해 잠수구 바티스피어


WCS_Beebe_Barton_600.jpg


미국의  생물학자 윌리엄비비와 심해전문 다이버인 오티스 바턴은 두께 3.8cm 지름1.34m의 바티스피어를 타고 대서양 해역 수심 약 900m에 도달한다.


심해1.jpg


태양빛이 한번도 닿지 않은 암흑으로 10m 마다 1기압씩 높아지는 수압을 극복하며 이룬 최초의 심해 개척이였다. 그로부터 14년후 오티스 바터는 새로운 잠수구로 약 1300m 잠수에 성공한다.


c282e3ced45029805d7bc3165be8681d.gif


당시 심해잠수구는 쇠줄에 의지한채 심해로 들어가는 방식의 잠수구로 만약 줄이 끊어지면 


인명사고가 일어날 수 밖에 없는 구조였다.



400px-Bathyscaphe_Trieste.jpg


당시 이러한 단점은 부력제를 이용해 스스로 물위로 떠오를수있는 바티스카프가 만들어지면서 극복된다.


101026272_1.jpg


1920년 스위스 해양학자 자크 피카르와 미해군중위 돈월시는


스위스에서 설계된 바티스카프 트리에스테를 타고 마리아나 해구 챌린저 해연에 최초로 도달한다.


20121129_otven_eve_tortent_007.jpg


이후 1962년에는 프랑스의 아르키메데스호가 수심 9500m 깊이까지 들어가 심해와 관련해 의미있는 자료를 남기고 심해탐사를 향한 도전은 더욱 활발히 이루어졌다.


45148100.1.jpg


2012년 제임스 카메론이 7년을 걸쳐 제작한 딥 씨 챌린저 호를 타고 챌린저 해연 약 10,900m 잠수에 성공했고 1989년에 제작된 일본 신카이 6500은 오늘날까지 전세계의 바다를 천회이상 탐사하는 성과를 이룬다.


세계에서_가장_깊은_바다_마리아나_해구.jpg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구상에서 가장 깊은 곳인 마리아나 해구. 챌린저 해연의 끝 11,034m엔 아무도 도달하지 못했다. 인류는 언제쯤 심해의 끝을 경험할 수 있을까.


20070806204057.jpg


지금껏 과학자들이 탐험한 심해는 전체의 10%도 되지않는 인간의 손길이 거의 닿지않는 미개척 세계다.


깊은 바다까지 내려가는 일은 인간이 우주로 가는일보다 복잡하고 까다로운 심해 탐험.


d0064872_4aea33c25cf2a.jpg


심해를 탐사한 사람보다 달에 다녀온 사람이 더 많다는 말이 있을정도 .


img_0.gif


지구에서 쏘아올린 탐사선이 우주를 항해하고 다른행성의 정보를 파악한다.



20110828000831_0.jpg


인류가 관측할수 있는 범위는 증가하고 지구밖의 관찰하는것이 가능해졌다.



모험_-1.jpg


인류에게 미지의 세계는 더이상 존재하지않을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지구의 70퍼센트이상을 차지하는 바다는 인류에게 호기심의 대상이자 미지의 영역이다


10.jpg


지구의 마지막 미스터리로 남은 심해의 비밀


어쩌면 심해의 미스터리가 풀리는 순간 태양계의 모든 미스터리가 풀릴지도 모른다.